Starting Xperf by Windows Performance Tools (WPT)
Windows Server의 성능 이슈 중, 서버 내 상세한 항목을 보기 위한 방법으로 Windows Performance Tools을 활용 할 수 있다. 물론, Perfmon은 Windows Server 및 MS사의 Product에 대한 다양한 성능 API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지만, 특정 시점에 발생하는 성능 이슈에 대해서는 xperf를 활용한 성능 정보 수집 및 분석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먼저 Windows Server 설치 상태에선 xperf를 바로 활용 할 수 없기 때문에, Windows ADK 설치를 통해 Windows Performance Toolkit 을 설치해야 한다.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39982 Windows Server 2012 버전 용 ADK 설치 파일 설치 파일을 서버에 올려 실행하면 설치 Kit 중 Windows Performance Tools를 선택하여 설치 할 수 있다. 운영 서버의 경우 다행인 점은 설치 중간에 서버의 재기동은 없다. 설치 후, CMD 또는 Powershell 화면에서 바로 xperf라고 명령어를 실행시켜 보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됐는지 확인 가능하다. 일단, 설치가 완료됐으면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으로 성능 정보 수집을 진행할 수 있다. xperf에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성능 정보 항목 및 취합 그룹을 갖고 있다. xperf -help providers 라고 명령어를 수행 해 보면 다수의 성능 정보 취합 항목(또는 그룹)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중 많이 취합하는 항목으로는 KG(Kernel Group)인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성능 이슈로 보여지는 상황에 맞는 Kernel 의 모니터링 항목을 잘 모아 놓은 KG를 선택하여 성능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le I/O에 이슈가 있는 것으로 보일 때는 FileIO 그룹을 택하면 되...